안동김씨 문과급제자 신규자료3(익원공파 김광수(金光晬) 선조님)
페이지 정보
김동철 작성일19-08-30 22:10 조회907회 댓글4건본문
안동김씨 문과급제자 신규자료3(익원공파 김광수(金光晬) 선조님)
이 자료는 을미대동보(2015년) 수권 문과방목 명단에 등록되지 않은 새로운 자료입니다.김광수 선조님은 문과방목에는 본관이 경주김씨로 되어 있으나,우리 안동김씨 족보(2015년 을미보)에 기록이 보입니다.태종조 경인생(1410년)이며, 문과에 급제하고 사헌부 사헌을 지내신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사마방목과 문과방목에 따르면,1419년 세종1년 나이 10세에 생원시(기해증광시)에 합격하였으며, 1423년 세종5년 나이 14세에 문과에 합격했으며,세조실록에는 1459년(세조5년) 나이 50세에 사헌부 대사헌에 까지 오른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 기록
1435년 세종17년 10월 27일 사헌부 감찰 김광수(金光晬)
1439년 세종21년 7월 15일 좌랑(佐郞) 김광수(金光睟)
1440년 세종22년 6월 9일 평안도(平安道) 경차관(敬差官) 김광수(金光睟)
1441년 세종23년 윤11월 18일 봉상 판관(奉常判官) 김광수(金光晬)
1451년 문종1년 8월 21일 함길도도체찰사(平安咸吉道都體察使)종사관(從事官) 김광수(金光晬)
1454년 단종2년 8월 26일 공조 참의(工曹參議) 김광수(金光睟)
단종 2년 11월 11일 호조 참의(戶曹參議) 김광수(金光睟)
1455년 세조1년 윤6월 28일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김광수(金光睟)
1455년 세조1년 11월 17일 강원도 관찰사겸 병마 절제사(江原道觀察使兼兵馬節制使) 김광수(金光睟)
1457년 세조3년 7월 5일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김광수(金光晬)
1457년 세조3년 8월 14일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김광수(金光晬)
1458년 세조4년 2월 18일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겸병마 절제사(兵馬節制使) 김광수(金光睟)
1459년 세조5년 7월 3일 한성부 윤(漢城府尹) 김광수(金光睟)
1459년 세조5년 9월 20일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 김광수(金光晬)
●김광수계보도(익원공파)
사형-승-종한-천유(정묘생1387-?)-영부(기묘생1399-경자졸1480)-광수(경인생1410-병진졸1496)-간
●문과방목
김광수(金光粹)
[문과] 세종(世宗) 5년(142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4위(7/32)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AE40AD11C218U9999X0
이명 김광수(金光晬) 본인본관 경주(慶州)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이력사항]
선발인원 32명 [乙3‧丙7‧同進22] 전력 생원(生員) 관직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문과시험답안 책문(策問):천도감응지리(天道感應之理)
타과 세종(世宗) 1년(1419) 기해(己亥)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가족사항]
[부(父)] 성명 : 김영부(金榮富)(주1)[조부(祖父)] 성명 : 김○○(金○○) [증조부(曾祖父)] 성명 : 김○○(金○○) [처부(妻父)] 성명 : 안습(安習)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주 1] 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106])과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 11655]) 내의 급제 기록에는 "부榮富-조孟誠-증稛-처부安習"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씨족원류(氏族源流)』 [경주김씨]편(191쪽)에도 "金稛-孟誠-榮富-光晬"의 계대가 나온다.
그러나 「『세종실록』 125권, 세종 31년
댓글목록
김동철님의 댓글
![]() |
김동철 |
---|---|
작성일 |
(1449) 8월 27일」 김맹성의 졸기 기사에는 "김맹성이 계림군(雞林君) 균(稛)의 아들로 76세로 졸하였고, 아들이 없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음. 이로보아 "稛-孟誠""의 계대와 "榮富-光粹"의 계대는 성립되지만, 김맹성과 김영부의 부자는 성립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김맹성은 1374년 생으로 김영부는 대략 1400년 생일 것이고, 김광수는 대략 1425~1430년 생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김광수는 1419년에 기해 증광시에 생원이 되었고, 1423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추정된 생년보다 사마 합격과 문과 급제가 앞선다.
[출전]『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106])
[소장처]
김영환님의 댓글
![]() |
김영환 |
---|---|
작성일 |
안동김씨족보(을미보)에 의하면 김광수 자 현정 大廟 경인생 문과 사헌 병진12월15일졸
父 英富 조부 天裕 증조 宗漢
씨족원류에는 종한의 후손 기록 없음
그러나 김광수는 부 榮富 조 孟誠 증조 稛으로 되어 있다.
좀더 확인 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영환님의 댓글
![]() |
김영환 |
---|---|
작성일 |
익원공(휘 사형)의 생년은 정확합니다.(1341년생) 아들 1.륙 2.승 승의 아들1.종준 2종한
종한-1귀덕2.진 3.분 4.각 5.낙서 6.천유 천유-아들 영부 -광수 (을미대동보참조)
김광수는 익원공의 5대손입니다. 가장짧게 잡아 20년 5대 100년입니다. 김광수는 아무리 빨라도 1441년생입니다.(이것도 거의 불가능 종손으로 5대를 가정해야 됨) 그러나 방목의 김광수는 세종5년(1423년)에 문과급제자입니다. 익원공후손 김광수는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기에 익원공 후손일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김동철님의 댓글
![]() |
김동철 |
---|---|
작성일 |
영환 회장님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통상 일반적인 세대수 계산으로는 익원공파 김광수는 문과급제자 김광수가 될수 없습니다.
그런데 족보 방주란에 중요한 기록이 있습니다.기록만 놓고 본다면 특이하게도 2대를 내려서 세계가 이어져 있으며 문과급제자 김광수가 익원공파 김광수일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김광수계보도(익원공파)
사형(1341-1407)-승-종한-천유(정묘생1387-?)-영부(기묘생1399-경자졸1480)-광수(경인생1410-병진졸1496)-간
●족보기록 사항
첫째 김광수는 자는현정,조선 태종조 경인생,문과,사헌,병진12월15일졸기록===> 태종조 경인년은1410년 병진년은 1496년입니다.그러므로 김광수의 생졸년은 (1410년-1496년12월15일)
둘째 아버지 김영부 자는원수,기묘생,판윤,경자10월23일졸,공어단종손위자평산시입함흥(公於端宗遜位自平山始入咸興):단종이 세조(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손위하자 스스로평산에서 함흥으로비로소 들어가셨다.기록===> 단종이 손위한해는 1455년이므로 그 이전인 김영부의생년인 기묘년은1399년 경자년은1480년입니다.그러므로 김영부의 생졸년은 (1399년-1480년10월23일)
셋째 할아버지 김천유 판서,1447년정묘생 기록 ===>족보에는 1447년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아들인 김영부보다 앞선 정묘년은 1387년입니다.그러므로 김천유의 생졸년은(1387년-?)
이 기록(을미대동보)대로라면 김천유는 1387년생이며,13세의 나이인 1399년에 김영부를 낳은 것이됩니다.그리고 김영부는 12세의 나이인 1410년에 김광수를 낳은것이됩니다.요즘(현대)과 다르게 부자간의 생년차가12세,13세에 불과합니다
위 족보 기록과 문과 방목의 기록을 종합해보면 동일인으로 생각됩니다.
김광수는 1410년생이며,1419년 나이 10세에 생원시에 합격했으며,1423년 나이 14세에문과에
합격,1459년 50세 대사헌 역임,1496년 87세졸한 것이 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