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보는 대안군 묘지(墓誌) - 01 유득공의 기록
페이지 정보
김윤식 작성일17-09-28 23:54 조회842회 댓글0건본문
다시 보는 대안군 묘지(墓誌) - 01 유득공의 기록
이 기록은 박철상 씨 논문 <조선 金石學史에서 柳得恭의 위상>(대동한문학 제27집 45~77쪽)에서 밝혔듯이 일본 천리대학(天理大學)에 소장된 유득공 선생의 『고운당필기』와 수경실(박철상 씨) 소장 『영재서종(泠齋書種)』 중의 일부인 『고운당필기』에만 수록되어 있다고 한다.
국내에 남아 있는 『고운당필기』(낙질본)와 『영재서종(泠齋書種)』에서는 해당 부분을 찾지 못했기에 박철상 씨 논문에 적힌 대로 옮긴다. 박철상 씨가 소개한 내용은 문장부호가 찍혀 있어 자료를 대할 때 선입견을 가질 수 있으므로 문장부호를 지운 것을 덧붙인다. (예전 한적본 고본들이 그러하듯이 현재 전해지는 『고운당필기』는 모두 문장부호가 적혀 있지 않다.)
<박철상 씨가 공개한 자료>
<위 자료에서 문장부호를 제거한 자료>
이 기록은 박철상 씨 논문 <조선 金石學史에서 柳得恭의 위상>(대동한문학 제27집 45~77쪽)에서 밝혔듯이 일본 천리대학(天理大學)에 소장된 유득공 선생의 『고운당필기』와 수경실(박철상 씨) 소장 『영재서종(泠齋書種)』 중의 일부인 『고운당필기』에만 수록되어 있다고 한다.
국내에 남아 있는 『고운당필기』(낙질본)와 『영재서종(泠齋書種)』에서는 해당 부분을 찾지 못했기에 박철상 씨 논문에 적힌 대로 옮긴다. 박철상 씨가 소개한 내용은 문장부호가 찍혀 있어 자료를 대할 때 선입견을 가질 수 있으므로 문장부호를 지운 것을 덧붙인다. (예전 한적본 고본들이 그러하듯이 현재 전해지는 『고운당필기』는 모두 문장부호가 적혀 있지 않다.)
<박철상 씨가 공개한 자료>

<위 자료에서 문장부호를 제거한 자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