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원주김씨보의 오류 – 04 김윤간은 김거공의 아들이 아니다.

페이지 정보

김윤식 작성일19-02-09 14:15 조회1,037회 댓글1건

본문

원주김씨보의 오류 – 04 김윤간은 김거공의 아들이 아니다.

원주김씨보에는 시조 김거공(金巨公)이 1099년(숙종 4년) 3월 3일에 태어나 1163년(의종 17년) 5월 5일에 졸한 것으로 적혀 있다. 그가 태어난 연대는 사서(史書)나 문집 등에 기록이 없지만, 사망 일시는 고려사 세가 1163년(의종 17년) 5월조에 “임자일(22일)에 지문하성사 김거공이 사망하였다.(壬子。知門下省事金巨公卒。)”라고 적혀 있다. 아들 김윤간(金允侃)은 1124년(인종 2년) 4월 18일에 태어나 1198년(신종 1년) 12월 18일에 사망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원주김씨보 기록대로라면 시조 김거공이 26세에 아들 김윤간을 낳은 것이다.

<출전 : 원주김씨대동보 1982년>

대수

이름

생몰년

시조

1

金巨公 김거공 初名 子彪

1099.3.3.(숙종4)~1163.5.5.(의종17) 65

配 惠和夫人 全州李氏

: 기록 없음.

1101.4.15.(숙종6)~1166.12.18.(의종20) 66

: 기록 없음.

2

允侃 윤간 一名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xml:namespace prefix = "w"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word" />

1124.4.18.(인종2)~1198.9.4.(신종1) 75

配 郡夫人 安東權氏

父 兵部尙書 權子與

祖 光祿大夫 左僕射 權守洪

曾 戶長中允 殿中內給事 權仲時

高 戶長 侍郞 權利與

1128.2.9.(인종6)~1203.10.14.(신종6) 76

권자여 : 기록 없음.

권수홍 : 기록 없음.

권중시 : 기록 없음.

권이여 : 기록 없음.


군부인(郡夫人) 안동권씨의 친정아버지는 권자여, 조부는 안동권씨 복야공파 파조인 권수홍, 증조부는 권중시, 고조부는 권이여로 적혀 있다. 이들은 안동권씨보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으나, 생몰년이 적혀 있지 않다. 김윤간의 본관은 성화보에 기록돼 있지 않지만, 안동권씨 신사보(1701년)에 ‘원주인(原州人)’이라고 명시돼 있다.
성화보에 권자여(權子與)의 자녀는 5남 2녀로 1子 권책(權頙), 2子 권윤평(權允平 : 古名 允成), 3子 권윤보(權允保 : 古名 允仁), 4子 조여(祖如), 5子 권빈(權份), 1女 권함(權咸), 2女 김윤간(金允侃)으로 적혀 있다.

02_ec9b90eca3bceab980ec94a8ec84b1ed9994ebb3b4ecb694ecb69c2.jpg 
05_eab980ec9ca4eab084ec9588eb8f99eab68cec94a8_ec8ba0ec82acebb3b4.jpg 

성화보는 자녀를 출생 순서로 기록하였는데, 맏아들 권책(權頙)의 생몰 연대는 아래와 같다.
   ■ 권책(權頙) : 1241년(고종 28년 辛丑年)~1315년(충숙왕 2년 乙卯年) 享75

그런데 원주김씨보에는 김윤간의 배위 안동권씨가 1128년(인종 6년)에 태어난 것으로 적혀 있다. 이는 큰오라버니 권책보다 무려 100년 이상 먼저 태어난 것이므로 명백한 오류이다. 게다가 군부인 안동권씨는 7남매 중 막내이므로 권책보다 적어도 10~20년 이상 더 늦게 태어났을 것이다. 김윤간은 배위 안동권씨보다 2년 연상이므로 김윤간은 김거공 사망 후 대략 80~90년 정도 지나서 태어났다는 뜻이다. 따라서 시조 김거공과 김윤간은 부자(父子) 관계가 성립될 수 없으므로 그 사이에 누락된 계대를 천착해야 할 것이다.

댓글목록

김영윤님의 댓글

profile_image 김영윤
작성일

합리적 근거를 바탕으로한 팩트체크에 감사드립니다
고려조에 생몰년을 비롯해 생일까지 빠짐없이 기록된 원주김씨보를 보며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아는 것을 안다,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말하는 것, 이것이 진정으로 아는 것이다.)  라는 귀절을 새삼 되새기게 하는군요